# 내장 웹 서버 이해

→ 스프링부트는 툴이지 서버가 아니라는 개념

→ 내장 웹서버 이해

→ 컨테이너와 포트 찍기

# 스프링 부트 활용-1

→ 프로퍼티 값 검증 @Validated.

→ 프로파일 @Profile, 프로퍼티 값 추가 후 어떤 식으로 동작하는지

→ spring.profiles.active의 경우도 springprofiles.include 경우

application.properties vs application-base.properties vs application-test.properties의 우선순위

→ 로깅-1, 기본 로거 설정(Logging)

→ 로깅-2, 커스터마이징(Log4j2)

# 스프링 부트 활용-2

→ 테스트 코드 작성

# 스프링 부트 활용-3

1. UserContollerTest, JSONMessageConverters를 만든 후 에러 처리

→ 1) Test Console에 404, handler를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