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Container와 Bean

→ 의존 객체를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주입 받아 사용하는 방법 개념을 IoC이라고 함.

→ Spring IoC Container는 Bean 객체를 관리함.

→ Bean의 장점은 1) 의존성 관리, 2) 스코프(싱글톤, 프로토타입), 3) 라이프사이클 인터페이스.

→ Bean 구별 방법에 대해 학습할 수 있음.

# AutoWired

→ 필요한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함.

→ 생성자, 세터, 필드에 사용이 가능하며

→ 해당 타입의 빈이 존재 여부와 갯수에 따라 다른 사용방법에 대해 학습 가능.

→ Runner 클래스나 @PostConstruct를 통해 어떤 빈이 주입 됐는지 Console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음.

# Component와 Component Scan

→ @Component(Service, Repository, Controller, Configuration)

→ 스캔 위치를 설정하며

→ 어떤 어노테이션을 스캔할지 또는 하지 않을지를 결정.

# Bean의 Scope

→ Scope에는 빈 마다 하나의 객체를 생성하는 SingleTon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