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Local 저장소 Image
2. Working Directory
https://sabarada.tistory.com/196
1. Git 사전 준비
2. Git Repository(저장소)
1. GIt 사전 준비
- Git을 사용하려면 Git의 Commit을 남기는 사람에 대한 정보를 설정한다.
- 한 번 설정하면 컴퓨터 자격증명 방식으로 남아있기에 추후에 할 일이 없어진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2. Git Repository(저장소)
2-1) 저장소 설정
- 명령어 ‘git init’을 사용한 순간 git 저장소를 만들게 된다.
- 해당 디렉토리 내에 .git/폴더가 생성된다.
$ git init
2-1) 저장소의 종류
-
저장소(Git Repository)의 종류는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대기장소(Staging Area)’ ,’원격저장소(.git Directory)’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2-1)-1. 작업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 작업 디렉토리에서 대기장소로 옮기기 위해서는 수정된 파일(midified)만 가능하다.
- 명령어 ‘add’를 통해 대기장소(Staging Area)로 넘겨주면 된다.
2-1)-2. 대기장소(Staging Area)
2-1)-3.
1. Local 저장소 Image
- Working Directory
- modified된 파일만 Staging Area로 옮길 수 있다.
- add를 통해 Staging Area로 넘겨 준다.
- Staging Area
- git rm —cached를 이용하면 Staging Area → Working Directory로 이동 가능.
- .git directory(원격 저장소)
-
commit 명령어를 실행하면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이 하나의 버전으로
git directory에 저장 됨.
-
commit 후에는 파일 상태가 staged에서 Unmodified로 파일 상태가 변경 됨.
-
push 명령어를 통해 로컬 저장소에 있던 파일들이 원격저장소로 올라간다.

2. Working Directory
2-1) Working Directory 정의
- Working Directory의 파일은 Tracked(관리 대상)과 Untracked(관리대상 아님)로 나눌 수 있다.
2-2) Tracked(관리대상)
- Untracked(수정하지 않음), Modified(수정함), Staged(커밋으로 저장소에 기록될) 상태로 나뉨.
2-3) Untracked(관리대상 아님)
- Untracked 파일은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스냅샷에도 Staging Area에도 포함되지 않음.
2-4) Tracked Image

2-5) Commit
- 커밋을 하기 위해서는 수정한 파일을 Staged 상태로 만들고 Staged 상태의 파일을 커밋하면 됨.
- 이런 라이프 사이클을 계속 반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