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을 선택하는 리모컨을 그 개념으로 보면 됨.
-> 기계와 인간 간의 소통창구.
소프트웨어의 버튼, 스크롤바, 슬라이더, 브라우저 창 등
이를 가리켜 User Inteface, UI
기상정보를 관리하는 기상청 서버가 있음.
포털이나 기타 날씨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웹사이트들, 앱들이 기상청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날씨 정보를 요청해서 받아감.
누구든 이걸 참조해서 기상청 정보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음.
이처럼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로부터 지정된 형식으로 요청
명령을 받을 수 있는 수단을 가리켜 API라고 함.
네트워크 상에서만 API가 있는 게 아님.
로컬 프로그램인 브라우저는 Web API를 통해 자바스크립트로부터
특정 동작들을 지시 받음.
5-1) REST API 개념
프론트엔드 웹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거나
배달 앱에서 서버에 주문을 넣거나
이런 서비스들에서 오늘날 널리 사용되는 것이
REST란, 형식의 API임.
5-2) REST의 가장 중요한 특성
각 요청이 어떤 동작이나 정보를 위한 것인지를
그 요청의 모습 자체로 추론 가능하다는 거임.
사실 만들고자 하는 서비스에서 기능 자체만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아무거나 만들면 그만이지만
RESTful하게 만든 API는 요청을 보내는 주소만으로도
대략 이게 뭘 하는 요청인지 파익이 가능해요.
5-3) REST API 주소 개념 : 학원 DB에게 정보를 보내달라는 요청을 할 때
http://(도메인)/classes 붙으면 아마도 '**학원의 반들 목록'**을 받아오는 요청일 거예요.
-> 자원을 구조와 함께 나타내는 이런 형태의 구분자를 URI라고 함.
-> 서버에 REST API로 요청을 보낼 때는 HTTP라는 규약에 따라 신호를 전송함.
-> REST API에서는 1) GET 2) POST 3) DELETE 4) PUT 5) PATCH
-> GET과 DELETE에는 body가 없지만
-> POST PUT PATCH에는 body에 담아 보내기 떄문에 많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음.
———————————————————————————
그리고 http://(도메인)/classes/2 그 뒤에 이렇게 index 고유 번호가 따라붙으면